국민연금 미리 당겨 쓰는 '부분연금제', 진짜 혜택은 뭘까?

💸 국민연금, 왜 다들 '조기 수령'을 선택할까? 90만 명이 선택한 이유는? ⏳ "덜 받더라도 빨리 받겠다" 2024년 들어 국민연금을 조기 수령 하는 사람이 90만 명을 넘었습니다. 불과 몇 년 전인 2020년에는 67.4만 명이었는데,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죠.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? 🧓 "은퇴는 일찍, 연금은 늦게"... 그 사이 10년 공백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, 55~64세 고령층이 가장 오래 다닌 직장에서 퇴직한 평균 연령은 49.4세 였습니다. 그런데 국민연금 수령은 빨라도 60세부터 , 늦으면 65세부터 죠. 이 말은 퇴직 후 최대 15년 동안 소득이 없을 수 있다 는 뜻입니다. 이 소득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많은 이들이 연금 조기 수령 을 택하고 있습니다. 📉 최대 30% 감액... 그래도 선택하는 이유 ‘초기 노령연금’이라고 불리는 조기 수령은 1년 당 6%, 최대 5년까지 감액 되며 받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월 100만 원 받을 사람이 5년 일찍 받으면 70만 원 밖에 못 받습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급자는 계속 늘고 있어요. 왜냐하면... 🏥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도 영향! 2022년 9월부터 건강보험 피부양자 인정 기준이 바뀌면서, 연 소득 2,000만 원 초과 시 피부양자 자격 박탈 이 됩니다. 그래서 일부 고령자는 연금을 적게 받는 조기 수령을 선택 해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려는 전략을 쓰기도 합니다. 🔄 늦게 받을수록 이득? ‘연기연금’은 +36%까지 반대로 연금을 최대 5년 늦춰서 받으면 연 7.2%씩, 최대 36%까지 증액 됩니다. 예를 들어, 100만 원 받을 사람이 5년 늦추면 136만 원 을 평생 받습니다. 단점? 늦게까지 못 받을 수도 있다는 것. 🧮 새로운 선택지, ‘부분 연금제’ 도입 추진 중 기존에는 연금을 전부 앞당기거나 늦추는 선택밖에 없었다면, 이제는...